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Daejeon Science Festival)은 과학기술도시 대전[1]을 대표하는 국내 최대의 과학축제로 대전의 과학콘텐츠 자원과 시대적 콘텐츠 요소를 '융복합한 과학축제'로, 융합과 미래 그리고 참여를 더욱 견고히 하여 대전의 정체성 확립 및 도시브랜드를 제고하는 '대전다운' 과학문화관광축제를 표방한다.[2] 대전은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민간 연구소 등이 입주해 있고 1993년 세계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도시이다. 또한 대전시는 UNESCO와 격년제로 세계 과학기술인과 기업인이 참가하는 대전세계혁신포럼을 공동으로 개최하고 있으며, 2012년도에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도시로 확정되어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최고의 과학도시이다.
축제취지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은 2000년부터 개최되기 시작하여 올해로 21년째를 맞는 대전의 대표축제이다. 청소년들에게 꿈을 심어주고, 대국민 과학마인드 제고에 기여하며, 지역 특화형 축제로써 국내 관광산업 및 과학산업 발전의 촉매로써 역할 수행을 모토로 하고 있다. 더 나아가 대전의 상징축제로서 첨단과학도시를 표방하고 있는 대전의 도시 이미지 및 특성을 대내외적으로 홍보함과 동시에, 지역경제 파급효과의 극대화와 과학․문화관광산업의 육성, 엑스포과학공원의 활성화 및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기관 간 연계 촉진 등 다각적인 효과가 기대되는 국내 최대의 과학축제라고 할 수 있다.[3]
연도별 개최현황
2000년 제1회를 시작으로 2019년까지 총 22회 개최되었다.[4]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은 해가 거듭되면서 여러 가지 변수들로 인하여 축제의 모양이 변모되었는데, 외부전문가들이 투입되어 기본계획을 수립했던 2000년에서 2004년까지의 시기를 사이언스페스티벌 1기, 한국과학문화재단(현,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함께 주관하여 대한민국창의과학축전과 공동으로 한 2005년을 사이언스페스티벌 2기, 자체적으로 기본계획을 수립하던 2006년과 2007년을 사이언스페스티벌 3기, 개최 시기와 방법 등의 큰 변화가 있었던 2008년부터 2010년까지를 4기로 구분한다.[5]
구분
2000년(1회)
2001년(2회)
2002년(3회)
2003년(4회)
2004년(5회)
2005년(6회)
2006년(7회)
2007년(8회)
축제명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00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01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02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03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04
2005 대한민국과학축전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06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07
주제
열려라! 과학천국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
인간과 가까운 과학
전환&이동
'세상을 바꾼 10가지
과학이야기'
조화와 소통
'미래로 가는 다섯 개의 문'
과학 180°
Multi-Sciencing
'7가지 시원한 여름과학세상'
상상! 사이언스 탐구여행
축제
기간
2000.8.11(금)~8.20(일)
10일간
2001.8.11(금)~8.20(일)
10일간
2002.8.9(금)~8.18(일)
10일간
2003.8.7(목)~8.17(일)
11일간
2004.7.30(금)~8.9(월)
11일간
2005.8.12(금)~8.21(금)
10일간
2006.8.11(금)~8.20(일)
10일간
2007.8.15(수)~8.19(일)
5일간
행사
규모
35개 단체, 110개 프로그램
37개 단체, 120개 프로그램
45개 단체, 120개 프로그램
45개 단체, 140개 프로그램
42개 단체, 150개 프로그램
국내외 142개 단체,
350개 프로그램
46개 단체, 120개 프로그램
56개 단체, 122개 프로그램
주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한국과학문화재단,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대전광역시, CMB대전방송
대전광역시, CMB대전방송
주관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입장료
어 른 : 3,000원
청소년 : 2,000원
어린이 : 1,000원
어 른 : 3,000원
청소년 : 2,000원
어린이 : 1,000원
어 른 : 3,000원
청소년 : 2,000원
어린이 : 1,000원
어 른 : 5,000원
청소년 : 4,000원
어린이 : 3,000원
어 른 : 5,000원
청소년 : 4,000원
어린이 : 3,000원
대 인 : 6,000원
소 인 : 4,000원
어 른 : 8,000원
청소년 : 6,000원
어린이 : 4,000원
대 인 : 9,000원
소 인 : 7,000원
관람
인원
유료 : 115,494명
무료 : 72,552명
연계 : 43,892명
합계 : 231,918명
유료 : 146,384명
무료 : 98,954명
연계 : 58,111명
합계 : 303,449명
유료 : 112,665명
무료 : 96,845명
연계 : 83,207명
합계 : 292,717명
유료 : 141,644명
무료 : 9,591명
연계 : 225,974명
합계 : 377,209명
유료 : 86,697명
무료 : 39,899명
연계 : 131,880명
합계 : 258,476명
유료 : 69,034명
무료 : 77,119명
연계 : 137,180명
합계 : 283,333명
유료 : 75,083명
무료 : 177,814명
연계 : 64,115명
합계 : 317,012명
유료 : 103,281명
무료 : 49,648명
연계 : 42,322명
합계 : 195,251명
구분
2008년(9회)
2009년/4월(10회)
2009년/10월(11회)
2010년/4월(12회)
2010년/10월(13회)
2011년(14회)
2012년(15회)
2013년(16회)
축제명
꿈돌이사이언스페스티벌 2008
꿈돌이사이언스페스티벌 2009
꿈돌이사이언스페스티벌 2009
꿈돌이사이언스페스티벌 2010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11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12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대전엑스포20주년기념
2013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주제
꿈돌이의 귀환
항공우주과학
우주특별시로 가는 세상
(우주여행"Space Tour")
그린에너지를 찾아라
- 꿈돌이탐험대
자연을 생각하는 과학
노벨상의 꿈을 향하여
신나고 재미있는 과학여행
응답하라 1993 상상하라 2033
축제
기간
2008.4.19(토)~4.21(월)
3일간
2009.4.10(금)~4.12(일)
3일간
2009.10.9(금)~10.18(월)
10일간
2010.4.23(금)~4.25(일)
3일간
2010.10.7(목)~10.10(일)
4일간
2011.10.6(목)~10.9(일)
4일간
2012.10.26(금)~10.28(일)
3일간
2013.8.9(금)~8.11(일)
4일간
행사
규모
40개 단체, 80개 프로그램
80개 프로그램
65개 프로그램
46개 단체, 120개 프로그램
53개 과학문화체험프로그램
127개 과학문화프로그램
130개 프로그램
114개 기관단체, 120개 프로그램
주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교육청,
대한민국공군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교육청,
대한민국공군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교육청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덕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대전마케팅공사
주관
꿈돌이사이언스존발전협의회
(K-Zone)
꿈돌이사이언스존발전협의회
(9개 기관)
꿈돌이사이언스존발전협의회
(9개 기관)
꿈돌이사이언스존발전협의회
(6개 기관)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대전마케팅공사
대전마케팅공사
입장료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관람
인원
유료 : 없음
무료 : 27,291명
연계 : 54,000명
합계 : 81,291명
유료 : 없음
무료 : 71,669명
연계 : 63,500명
합계 : 135,169명
유료 : 없음
무료 : 237,422명
연계 : 40,767명(IAC행사)
합계 : 278,189명
유료 : 없음
무료 : 130,000명
연계 : 46,920명
합계 : 176,920명
유료 : 없음
무료 : 117,929명
연계 : 없음
합계 : 117,929명
합계 : 153,024명
합계 : 84,252명
합계 : 151,878명
구분
2014년(17회)
2015년(18회)
2016년(19회)
2017년(20회)
2018년(21회)
2019년(22회)
2020년(23회)
2021년(24회)
축제명
2014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1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16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17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18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19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21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주제
생활속 숨쉬는 과학
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
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
- 우주 및 항공 -
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
- 새로운 물결, 4차산업혁명 -
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
- 4차산업혁명특별시! 대전은
미래로, 미래는 대전으로!! -
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
- 우주 및 항공 -
축제
기간
2014.11.12(수)~11.16(일)
5일간
2015.10.17(토)~10.21(수)
5일간
2016.10.22(토)~10.25(화)
4일간
2017.10.21(토)~10.24(화)
4일간
2018.10.19(금)~10.22(화)
4일간
2019.10.18(금)~10.21(화)
4일간
행사
규모
40개 기관단체,
50여개 프로그램
90개 기관단체,
130개 체험프로그램
144개 기관단체,
187개 체험프로그램
160개 기관단체,
323개 프로그램
178개 기관단체,
343개 프로그램
185개 기관단체,
352개 프로그램
주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주관
대전마케팅공사
대전마케팅공사
대전마케팅공사
대전마케팅공사
대전마케팅공사
대전마케팅공사
대전마케팅공사
입장료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관람
인원
합계 : 48,000명
합계 : 167,800명
합계 : 170,210명
합계 : 222,864명
합계 : 234,900명
합계 : 242,560명
합계:
각주
↑대전은 과학도시로서의 이미지로 상징되는 과학행사가 많이 개최되고 있다. 국립중앙과학관의 '사이언스 데이', 대전광역시 유성구청의 '헬로 과학마을축제', 대전시민천문대의 '별축제 등이 그것이다.
↑출처 김준호 기자 (2020년 2월 11일). "대전 대표축제에 사이언스페스티벌 등 9개 선정 [1]. 연합뉴스.
↑장세권, 『지역 축제이벤트 활성화에 대한 연구 ;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을 중심으로』(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p.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