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군(上黨郡)은 중국의 옛 행정구역으로, 전국 시대부터 당나라까지 존속한 군이자 산서성의 지급시인 창즈시의 전신이다.
전국 시대
진나라의 상당군의 영역은 기존 삼진에 흩어져 있었다. 상당군이란 이름 자체는 한나라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 그러나 조 무령왕은 자국의 국경지대에 상당이 있다고 말했으며,[2] 이후 상당군의 속현이 되는 둔류(屯留)는 조나라와 한나라의 분쟁지역이었다. 조나라 숙후가 이곳으로 진나라 임금을 옮기기도 했고,[3] 한나라에서 이곳과 역시 상당군의 속현 열씨(涅氏)현으로 보이는 열(涅)을 뺏기도 했다.[4][5][6] 《전국책》에서는 조나라의 상당군에는 24현,[7][8] 한나라의 상당군에는 17현이 있었다고 한다.[9][10] 한나라의 상당군은 기원전 262년 한나라가 진나라에 야왕(野王)을 뺏기면서 본국과의 연결이 위태해지자 상당수 풍정(馮亭)의 판단으로 조나라에 넘겨졌다. 이후 진나라와 조나라는 상당군을 두고 다투었고 기원전 260년 장평 전투에서 조나라가 대패하면서 진나라에 넘어갔다.[1] 기원전 257년, 한나라가 상당군을 수복했고, 기원전 247년 진나라가 다시 손에 넣었다. 조나라의 상당군은 기원전 236년 진나라가 조나라를 공격하면서 진나라에 정복되었다.[11]
진
진나라 통일 당시의 36군 중 하나로, 치소는 장자현이다. 현재까지 문헌자료와 유물로 밝혀낸 속현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외에 마비백(馬非百, 1896 ~ ?)은 요양(轑陽)·연여(閼與) 두 현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했으나, 후효영은 이를 믿을 수 없다고 보았다.[12]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장자
|
長子
|
산시성 장쯔현 남서
|
허난성 신정시의 정한고성(鄭韓故城)에서 출토된 한나라 “장자과”(長子戈) 등
원래는 한나라 땅이었으나 조성후 5년(기원전 370년) 조나라에 넘어감
|
둔류
|
屯留
|
산시성 툰류현 남
|
진나라 봉니 “둔류”(屯留) 등
|
동제
|
銅鞮
|
산시성 친현 남
|
전세 조나라 병기 “동제우고”(銅鞮右庫)과 명문에 “동제우고”(同鞮右庫) 등
|
양원
|
襄垣
|
산시성 샹위안현 북서
|
전한 장가산한간 《질률》 “양원”(襄垣)현
|
노
|
潞
|
산시성 루청시 북동
|
전국 한나라 방족소포 “노(露)”[13], 장가산한간 질률 “노(潞)”
|
여오
|
余吾
|
산시성 툰류현 북서
|
전국 조나라 구멍이 셋 있는 포 “여망”(余亡)포[14]
|
단씨
|
端氏
|
산시성 친수이현 동
|
전한 장가산한간 《질률》 “단씨”(端氏)현
|
의씨
|
陭氏
|
산시성 안쩌현
|
허베이성 정딩현에서 출토된 전국 진나라 병기 “의씨사?”(陭氏師□)과, 장가산한간 《질률》 “아씨”(阿氏)현[15]
|
현씨
|
泫氏
|
산시성 가오핑시
|
《수경·심수주》에 인용된 《죽서기년》에 “진열공 원년(기원전 415년), 조헌자가 현씨에 성을 쌓았다” 등
|
고도
|
高都
|
산시성 진청시 북 가오두 진
|
전세 전국 위나라 병기 “입구년고도령”(廿九年高都令)검 명문에 “고도”(高都) 등
|
열씨
|
涅氏
|
산시성 우샹현 서
|
장가산한간 《질률》 “열”(涅)현
|
호관
|
壺關
|
산시성 루청현 서
|
장가산한간 《질률》 “호관”(壺關)현
|
섭
|
涉
|
허베이성 서현
|
전세 전국 만기 진나라 병기 “섭”(涉)과 명문에 “섭”(涉) 등
|
전한
무제가 13주를 설치하면서 병주자사부에 속했다. 상당관(上黨關)·호구관(壺口關)·석형관(石硏關)·천정관(天井關)이 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7만 3798호, 33만 7766명을 관할했다.[16] 영역은 현대의 창즈시와 진청시·린펀시·진중시의 일부에 걸쳐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 지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4현을 관할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장자현 |
長子縣
|
창즈시 장쯔현 약간 서 |
군 치소가 있었다. 주나라의 사(史) 신갑(辛甲)의 봉지다. 녹곡산(鹿谷山)에서 탁수(濁水)가 나와 동으로 업에 이르러 청장(淸漳)으로 들어간다.
|
둔류현[17] |
屯留縣
|
창즈시 툰류현 남 |
상흠(桑欽)에 따르면 강수(絳水)가 남서에서 나와서 동으로 바다에 들어간단다.
|
여오현 |
余吾縣
|
창즈시 툰류현 북서 |
|
동제현 |
銅鞮縣
|
창즈시 친현 남 |
상사정(上虒亭), 하사취(下虒聚)가 있다.
|
점현 |
沾縣
|
진중시 시양현 남서 |
대맹곡(大黽谷)[18]에서 청장수(淸漳水)가 나와 북동으로 읍성(邑成)에 이르러 대하(大河)로 들어가니, 상당·위·광평·거록·신도·하간 6군을 지나 1680리를 가니 기주천(冀州川)이다. 응소에 따르면 점수(沾水)는 호관에서 나온다.
|
열현 |
涅縣
|
창즈시 우샹현 북서 |
|
양원현 |
襄垣縣
|
창즈시 샹위안현 북 |
|
호관현 |
壺關縣
|
창즈시 북 |
양장판(羊腸版)이 있다. 점수가 동으로 조가에 이르러 기수(淇水)로 들어간다. 응소에 따르면 이 현의 여정(黎亭)은 옛 여후국(黎侯國)이다.
|
현씨현 |
泫氏縣
|
진청시 가오핑시 |
양곡(楊谷)에서 절수(絶水)가 나와 남으로 야왕에 이르러 심수(沁水)로 들어간다.
|
고도현 |
高都縣
|
진청시 |
완곡(莞谷)에서 단수(丹水)가 나와 남동으로 현수(泫水)로 들어간다. 천정관(天井關)이 있다.
|
노현 |
潞縣
|
창즈시 루청시 북동 |
옛 노자국(潞子國)이었다.
|
의씨현 |
陭氏縣
|
린펀시 안쩌현 남 |
|
양아현 |
陽阿縣
|
진청시 양청현 북서 |
|
곡원현 |
穀遠縣
|
창즈시 친위안현 |
양두산(羊頭山) 세미곡(世靡谷)에서 심수(沁水)가 나와 남동으로 형양(滎陽)에 이르러 하수로 들어가니, 상당·하내·하남 3군을 지나 970리를 간다.
| [16][19]
후한
낙양으로부터 북으로 1,500리거리에 있다. 13성 26,222호 127,403명을 거느렸다.[20]
215년(건안 20년) 군의 일부에서 낙평군을 신설했다.
현명
|
한자
|
비고
|
장자현
|
長子縣
|
|
둔류현
|
屯留縣
|
|
동제현
|
銅鞮縣
|
|
점현
|
沾縣
|
|
열현
|
涅縣
|
|
양원현
|
襄垣縣
|
|
호관현
|
壺關縣
|
여정(黎亭)이 있다. 옛 여국(黎國)이다.
|
현씨현
|
泫氏縣
|
장평정(長平亭)이 있다.
|
고도현
|
高都縣
|
|
노현
|
潞縣
|
|
의씨현
|
猗氏縣
|
|
양아후국
|
陽阿候國
|
서진대 폐지되었다.
|
곡원현
|
穀遠縣
|
|
낙평군의 분리
분리이전
|
분리이후
|
상당군
|
장자현, 둔류현, 동제현, 열현, 양원현, 호관현, 현씨현, 고도현, 노현, 의씨현, 양아현, 곡원현
|
상당군
|
장자현, 둔류현, 동제현, 열현, 양원현, 호관현, 현씨현, 고도현, 노현, 의씨현, 양아현, 곡원현
|
점현
|
낙평군
|
점현, 상애현, 낙평현
|
상산군
|
상애현, 낙평현
|
고읍현, 구문현, 난성현, 남행당현, 도향현, 방자현, 영수현, 원씨현, 정형현, 진정현, 평극현, 포오현
|
상산군
|
고읍현, 구문현, 난성현, 남행당현, 도향현, 방자현, 영수현, 원씨현, 정형현, 진정현, 평극현, 포오현
|
서진
294년(진 혜제 원강 4년) 5월 흉노인 학산(郝散)이 반란을 일으켜 상당을 공격하고 장리르 살해하는 일이 벌어졌다. 그러나 3개월만에 그가 항복하며 반란은 종결되었고, 항복한 학산은 풍익도위에게 살해당했다.[21][22]서진대 상당군은 10현 13,000호를 거느렸다.[23] 304년(진 혜제 영흥 원년), 한왕을 자칭한 유연이 동영공 사마등이 보낸 섭현의 군사를 처리한 뒤 상당군의 군현들을 침공하면서 한나라의 땅으로 편입되었다.[24]
현명
|
한자
|
비고
|
노현
|
潞縣
|
|
둔류현
|
屯留縣
|
304년 섭현을 격파한 유연이 건무장군 유요를 보내 본현을 점령했다.
|
호관현
|
壺關縣
|
307년, 이석이 기근에 허덕이자 유연은 호관현 남쪽에 있는 여정(黎亭)에 일시적으로 수도를 두었다. 그리고 동년에 유연이 호관을 포위했을 때, 서진에서 회남내사(淮南内史) 왕광(王曠),안풍태수(安豊太守) 위건(衛乾)을 보내 한군을 토벌시키려 했으나 고도, 장평사이에서 왕미의 군에게 참패했다.
|
장자현
|
長子縣
|
304년 섭현을 격파한 유연이 건무장군 유요를 보내 본현을 점령했다.
|
현씨현
|
泫氏縣
|
304년 섭현을 격파한 유연이 건무장군 유요를 보내 본현을 점령했다.
|
고도현
|
高都縣
|
307년 왕미가 장평(長平)과 본현사이에서 사마월이 보낸 서진군을 대파했다.
|
동제현
|
銅鞮縣
|
|
열현
|
涅縣
|
|
양원현
|
襄垣縣
|
528년(건의 원년)에 향군으로 소속이 이관되었다.[25]
|
무향현
|
武鄕縣
|
현재의 창즈 시 우샹현이다. 후조를 세운 석륵이 태어난 곳이다.
|
남북조
남조
상당군 자체는 폐지되었고 374년(영강 4년), 현재 안후이성 우후 시일대에 상당군의 유민들이 정착하자 그 지역에 상당현을 설치하고 회남지역에 신설된 회양군의 영현이 되었다.[26]
북조
기존의 상당군을 그대로 유지했다.
북위
396년(황시 원년)상당지역을 안정시키고 태평진군연간에 호관현을 치소로 삼았다. 백마사(白馬祠), 류공사(劉公祠), 상당관(上黨關), 석정관(石井關), 천정관(天井關)이 있다. 5현 25,937호 104,475명을 거느렸다.[25]
현명
|
한자
|
비고
|
둔류현
|
屯留縣
|
|
장자현
|
長子縣
|
|
호관현
|
壺關縣
|
|
기씨현
|
寄氏縣
|
|
악양현
|
樂陽縣
|
보태연간에 장자현과 기씨현의 일부를 분리신설했다.
망천령(望天嶺)이 있는데, 그곳에서 강수(絳水)가 나온다.
요임금의 사당이 있다.
|
군수·태수
조
- 풍정(馮亭, ? ~ 기원전 262년): 본래 한나라의 상당수였다가 조나라에 항복하였고, 장평 대전 때 패사하였다.
전한
각주
- ↑ 가 나 사마천: 《사기》 권45 한세가제15: 十年,秦擊我於太行,我上黨郡守以上黨郡降趙。十四年,秦拔趙上黨,殺馬服子卒四十餘萬於長平。 중국어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사기 권45 한세가제15
- ↑ 사마천: 《사기》 권43 조세가제13: 吾國東有河、薄洛之水,與齊、中山同之,無舟楫之用。自常山以至代、上黨,東有燕、東胡之境,而西有樓煩、秦、韓之邊,今無騎射之備。
- ↑ 사마천: 《사기》 권43 조세가제13: 肅侯元年,奪晉君端氏,徙處屯留 。 중국어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사기 권43 조세가제13
- ↑ 작자 미상: 《고본죽서기년》 위기: 梁惠成王十二年,郑取屯留、尚子、涅。 중국어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고본죽서기년 위기
- ↑ 작자 미상: 《금본죽서기년》 위기: 楚師出河水以水長垣之外。龍賈帥師築長城于西邊。鄭取屯留、尚子。 중국어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금본죽서기년 위기
- ↑ 고본죽서기년에서 지적하는 양성혜왕(양혜왕) 12년은 기원전 358년이고 금본죽서기년에서 지적하는 주현왕 10년은 기원전 359년으로 1년 차이가 난다.
- ↑ 《전국책》 제책 2
- ↑ 杨宽 (2003). 《战国史》 [전국사]. 上海人民出版社. 677쪽. ISBN 7-208-04537-2.
- ↑ 《전국책》 진책 1
- ↑ 杨宽 (2003). 《战国史》 [전국사]. 上海人民出版社. 678쪽. ISBN 7-208-04537-2.
- ↑ 杨宽 (2003). 《战国史》 [전국사]. 上海人民出版社. 681쪽. ISBN 7-208-04537-2.
- ↑ 后晓荣 (2009년 1월 1일). 《秦代政区地理》 [진대정구지리]. 北京市东城区先晓胡同10号: 社会科学文献出版社. 329~334쪽. ISBN 9787509705704.
- ↑ 원래 글자는 雨+各이다. 路, 潞와 같이 읽을 수 있다.
- ↑ 이를 여무(余無)로 읽기도 하는데, 《죽서기년》에서 “여무지융(余無之戎)을 이겼다”는 기사의 여무를 “여오”(余吾)로 적기도 한다. 혹 서오(徐吾)라고도 한다.
- ↑ 정리자는 이를 “의씨”(陭氏)의 오자가 아닌가 의심했다.
- ↑ 가 나 반고 찬, 안사고 주: 《한서》 권28 상 지리지제8 상
- ↑ 《춘추》에서는 순류(純留)로 나온다. 屯은 안사고 주에 따르면 순(純)으로 읽어야 한다. 송기(宋祁)는 純은 鈍이 옳다고 했다. 통상 '둔류'로 읽으므로 이를 따른다.
- ↑ 맹(黽)은 요(𦥺, 要)의 오자라고 한다.
- ↑ 周振鹤 (2006년 6월). 《汉书地理志汇释》. 合肥市回龙桥路1号: 安徽教育出版社. 77 ~ 82쪽. ISBN 7-5336-4757-2.
- ↑ 사마표. 《후한서-권113》.
- ↑ 《진서》 4권 본기 제4 효혜제기 원강 4년 [1]
- ↑ 《자치통감》 82권 진기 제4 원강 효혜황제 上 원강 4년 [2]
- ↑ 《진서》 14권 지 제4 지리지 上 병주 상당군 [3]
- ↑ 《진서》 101권 재기 제1 유원해재기 [4]
- ↑ 가 나 《위서-권106 지형지2上 병주 상당군》.
- ↑ 심약. 《송서-권35 주군지 1 서주 회양군조》.
- ↑ 반고, 《한서》 권17 경무소선원성공신표
- ↑ 반고, 《한서》 권61 장건이광리전
- ↑ 가 나 범엽, 《후한서》 권29 신도강포영질운열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