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명 "암보렐라"는 말라가시어로 탐보우리사속(Tambourissa) 식물을 부르는 이름인 "암보라(ambora)"에 라틴어지소사 "-엘라(-ella)"를 붙인 것으로, "작은 암보라"라는 뜻이다. 과거에 암보렐라속이 탐보우리사속과 근연관계에 있다 여겨졌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종소명 "트리코포다"는 고대 그리스어로 "털의"를 뜻하는 "트리코스(τρῐχός)"와 "발의"를 뜻하는 "포도스(ποδός)"를 어원으로 두며, 암보렐라의 작은꽃자루와 잎자루에 털이 난 것을 일컫는다.
그 외에 1992년 손 분류 체계는 암보렐라과를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목련상목(Magnolianae) 목련목(Magnoliales) 아래에 분류했으며,[8] 1981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는 암보렐라과를 목련문(Magnoliophyta[=속씨식물]) 목련강(Magnoliopsida[=쌍떡잎식물]) 목련아강(Magnoliidae) 녹나무목(Laurales) 아래에 분류했다.[9] 1980년 달그렌 분류 체계에서는 암보렐라과를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목련상목(Magnolianae) 녹나무목(Laurales) 아래에 분류했다.[10]
↑Thorne, Robert F. (1992). “Classification and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The Botanical Review》 (영어) 58 (3): 225‒327. doi:10.1007/BF02858611.
↑Dahlgren, R. M. T. (1980). “A revis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the angiosperms”.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80 (2): 91‒124. doi:10.1111/j.1095-8339.1980.tb0166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