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기마치산조가
오기마치산조가(일본어: 正親町三条家 おおぎまちさんじょうけ[*])는 후의 사가가(일본어: 嵯峨家 さがけ[*])로, 후지와라 북가 간인류 산조가 서류의 공가이자 화족이다. 공가로써의 대신가, 화족으로써의 후작이다. 개요좌대신 산죠 사네후사의 3남 킨우지를 가조로 한다. 사네후사의 장남인 킨후사가 계승한 적류인 산죠가와 구별하기 위해 킨우지류를 오기마치산죠가로 부르게 된 것인데, 이 가명이 정착하는 것은 7대 킨토요 무렵으로 여겨진다. 「오기마치 (正親町)」는 저택이 오기마치 히가시노토우인에 접해있던데서 유래한다. 덧붙혀 가조인 킨우지는 이 오기마치산죠 외에도 보리사나 별저택이 있던 지명인 사가(嵯峨)와 니시무라(西郊)를 자칭하는 일도 있었다. 이를 선례로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자, 한자 5글자의 긴 가명이 편리성이 떨어지는 것을 통감한 28대 사네나루는 이후에 가명을 사가가 (嵯峨家)로 고쳤다. 가업은 4개의 대사 (절화・관주・서위・제목)와 유직고실이다. 코노에가의 가신로, 에도 시대의 가록은 200석이고, 나이나이이다. 유신 후에는 화족이 되었다가, 메이지 17년 (1884년) 화족령으로 백작이 되었지만, 4년 후, 메이지 유신에서의 사네나루의 공으로 후작으로 서임되었다. 사가가는 분가인 산죠니시가와 함께 대본의 본가 줄기에 해당하는 산죠가가 계승하지 않았을 때에는 양자를 보내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덧붙혀 오기마치산죠가의 계보는 황실과 연결 되어있다. 5대 킨히데의 외손자로 스코ㆍ고코곤 천황이 있었고, 이, 스코 천황의 계통이 지금의 황실까지 이어졌으며, 렌시의 후시미노미야 계통을 통해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일제히 황적이탈한 구황족 11궁가에도 연결돼 있었다. 25대 사네토모와 26대 킨노리의 외5세손으로 다이쇼 천황이 있으며, 여기서도 오늘날의 황실로 연결되어 있다. 역사처음에는 정2위 곤다이나곤을 최고위관직으로 하였으나, 5대 킨히데의 시기부터 딸인 히데코 (요로쿠몬인)가 고곤 천황의 후궁으로 들어가, 스코ㆍ고코곤 천황의 생모가 되면서, 내대신까지 오르게 되었다. 그의 아들 사네츠구, 손자 킨토요도 내대신에 올랐고, 이 때부터, 대신가의 가격이 정해졌다. 또한 킨히데의 『킨히데 공기(公秀公記)』와 그의 아버지 사네미의 『사네미 향기(実躬卿記)』는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 난보쿠초 시대에 걸친 일기이다. 킨토요의 동생 킨토키는 산죠니시가를 일으켰다. 킨토요의 증손자 사네마사는 여동생 타다코가 쇼군 아시카가 요시노리의 정실로 들어간 인연으로, 그 총애를 받아 권세를 떨치는데, 그의 아들인 킨미는 오닌의 난 즈음하여, 쇼군가의 명에 응하지 않고, 아시카가 요시미에게 가담했기 때문에 해직되었다. 이에 가독은 사네마사의 동생인 킨츠나로 옮겨졌고, 그의 유자 사네오키가 가독을 이었다. 사네오키가 분메이 13년 (1481년), 25세의 나이로 사망한 후, 아버지인 킨미가 곤다이나곤의 부름을 받아 적가(嫡家)로 복귀하지만, 곧 코후쿠지에서 씨족에서 방출처분을 받았다 (복성후, 킨하루로 개명). 그의 손자인 킨에는 에이쇼 8년 (1511년), 쇼군 아시카가 요시타다가 단바로 퇴거하면서, 이를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쇼군의 노여움을 사고, 일가 단절의 고비에 섰다. 서류인 산죠니시 사네타카가 적가(嫡家)의 위급을 구하기 위해, 쇼군의 신뢰가 두터운 아노 스에츠나를 통해 사면을 요청했다 (『사네타카 공기(実隆公記)』). 덧붙여 사네모치ㆍ사네토미는 가령인 스루가국 이나바쿄 (시즈오카현 후지에다시)에 하향한 적이 있어, 사네모치는 스루가에 있는 동안 사망했다. 근세에는, 사네히코를 제외하고 다른 가문에서의 양자 상속은 없고, 부자 상속에 의해 메이지 유신을 맞이했다. 다만, 비교적 젊은 나이에 죽은 자가 많아서인지, 대신에 오른 적은 없었다. 곤다이나곤에 이른 것도 사네요시ㆍ킨오사ㆍ킨츠무ㆍ사네나루의 4명에 그친다. 그 중에서도 킨츠무는 타케노우치 타카모치로부터 스이카 신토를 배우고 있었기 때문에, 호레키 사건에 연좌되어 파면ㆍ영칩거 처분을 받았다. 막부 말기의 사네나루는 기소, 코쿠지고요가카리를 지냈으며, 존왕양이파로부터 적대시되어 한때 실각하였으나, 메이지 신정부 수립에 공을 세워 요직을 역임했다. 메이지 3년 (1870년) 12월, 사네나루는 가명을 사가(嵯峨)로 개칭했다. 그의 아들 킨토는 1884년 (메이지 17년)에 백작에 서임되었으나, 1888년 (메이지 21년), 아버지 사네나루의 훈공에 의해 특히 후작에 서임되었다. 30대 사네토의 장녀 히로는 만주국 황제이자 청나라 마지막 황제였던 아이신기오로 푸이의 동생 푸계의 아내가 된다. 역대 당주
방계오기마치산죠 사네츠구의 동생인 준대신 오기마치산죠 사네토시의 계통이다.
별계오기마치산죠 사네미의 형인 비참의 산죠 사네나카의 계통이다.
계보오기마치산죠가 (사가가)
막부 말기의 영지국립역사민속박물관의 『구고구령취조장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산출된 막부 말기의 사가가 영지는 다음과 같다 (3개 마을 200석)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