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to: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碑)
(Stele for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 Temple Site, Wonju)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국보
종목국보 (구)제59호
(1962년 12월 20일 지정)
수량1기
시대고려시대 (1085년)
소유국유
위치
원주 법천사지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원주 법천사지
원주 법천사지
주소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산70번지
좌표북위 37° 12′ 22″ 동경 127° 45′ 42″ / 북위 37.20611° 동경 127.76167°  / 37.20611; 127.76167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碑)는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법천사지에 세워져 있는, 고려 문종 때 국사(國師)[1]이며 법상종고승인 지광국사 해린(984년 ~ 1070년)의 탑비이다.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59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고려 문종 24년(1070년)에 지광국사법천사에서 입적하자 그 공적(公的)[2]추모하기 위해 1085년(선종 2년)에 사리탑지광국사현묘탑과 함께 이 를 세워놓았다. 현묘탑은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옮겨졌고 탑비(塔碑)만이 옛 자리를 지키고 있다.

비문에는 지광국사가 불교에 입문해서 목숨을 다할 때까지의 행장(行狀)[3]과 공적을 추모하는 글이 새겨져 있다. 비문은 정유산(鄭惟産)[4]이 짓고, 글씨는 안민후(安民厚)가 중국의 구양순체를 기본으로 삼아 부드러운 필체로 썼다.

특징

나라를 대표했던 고승의 업적을 담은 비석인 만큼 돌을 한 땀 한 땀 따내려간 석공들의 지극한 정성이 곳곳에 배어 있다. 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돌을 세우고 왕관 모양의 머릿돌을 올린 모습이다. 거북은 목을 곧게 세우고 입을 벌린 채 앞을 바라보고 있어 용맹무쌍한데, 얼굴은 거북이라기보다 용의 얼굴에 가까운 형상으로, 턱 밑에는 길다란 수염이 달려 있고 부릅뜬 눈은 험상궂다. 독특한 무늬가 돋보이는 등껍질은 여러 개의 사각형으로 면을 나눈 후 그 안에 왕(王)자를 새겨 장식하였다. 비몸돌에서 눈에 띄는 것은 양 옆면에 새겨진 화려한 조각인데, 구름과 어우러져 여의주를 희롱하는 두 마리의 용이 정교하고도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머릿돌은 네 귀가 바짝 들린 채로 귀꽃을 달고 있는데, 그 중심에 3단으로 이루어진 연꽃무늬 조각을 얹어 놓아 꾸밈을 더하고 있다.[1]

사진

같이 보기

각주

  1. 사단법인 한국여행작가협회 (2009). 《대한민국 걷기 좋은 길 111》. ㈜위즈덤하우스. 144쪽. ISBN 978-89-92879-05-7. 

참고 자료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