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는 지방무형문화재 중에서 전북특별자치도 내에 있는 무형문화재를 의미한다.
지정목록
번호
|
사진
|
명칭
|
소재지
|
관리자 (단체)
|
지정일
|
참조
|
1호
|
|
익산목발노래 (益山木발노래)
|
전북 익산시 함라면 신대리 산 64
|
익산목발노래 보존회
|
1973년 6월 30일 지정
2005년 6월 12일 해제(보유자 사망)
2012년 4월 27일 보유단체 인정
|
[1]
[2]
|
2호
|
|
판소리 (흥보가)(김명신)
|
전북 정읍시
|
정읍시
|
2005년 3월 11일 지정
|
[3]
|
2호
|
|
판소리 (판소리)
|
전북 전북전역
|
|
1984년 9월 20일 지정
|
[4]
|
2-2호
|
|
판소리(심청가, 이옥희) (판소리(沈淸歌, 李玉姬))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1984년 9월 20일 지정
|
[5]
|
2-5호
|
|
판소리(춘향가, 최채선)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1992년 6월 20일 지정
|
[6]
|
2-6호
|
|
판소리(적벽가, 정병옥)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1992년 6월 20일 지정
|
[7]
|
2-7호
|
|
판소리(춘향가, 조소녀)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1996년 3월 29일 지정
|
[8]
|
2-8호
|
|
판소리(적벽가, 성준숙)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1996년 3월 29일 지정
|
[9]
|
2-11호
|
|
판소리(흥보가, 이순단)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2001년 6월 15일 지정
|
[10]
|
2-12호
|
|
판소리(심청가)(유영해) (판소리(沈淸歌)(柳永海))
|
전북 장수군
|
남원시
|
2001년 6월 15일 지정
|
[11]
|
2-13호
|
|
판소리(수궁가)(박양덕) (판소리(守宮歌)(朴陽德))
|
전북 남원시
|
남원시
|
2003년 7월 18일 지정
|
[12]
|
6-1호
|
|
향토술담그기(송순주, 김복순) (鄕土술담그기)
|
전북 김제시 요촌동 384-24 외
|
김제시
|
1987년 4월 28일 지정
|
[13]
|
6-2호
|
|
향토술담그기(이강주, 조정형) (鄕土술담그기(梨薑酒))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1987년 4월 28일 지정
|
[14]
|
6-3호
|
|
향토술담그기(죽력고)(송명섭) (鄕土술담그기(竹瀝膏))
|
전북 정읍시 태인면 태흥리 395
|
정읍시
|
2003년 12월 19일 지정
|
[15]
|
6-4호
|
|
향토술담그기(송화백일주-조영귀) (전통술담그기(松花百日酒-趙永貴))
|
전북 완주군
|
완주군
|
2013년 5월 14일 지정
|
[16]
|
7호
|
|
정읍농악(소고)(김종수) (井邑農樂)
|
전북 정읍시
|
정읍시
|
1999년 4월 23일 지정
|
[17]
|
7호
|
|
농악 (農樂)
|
전북 전북전역
|
|
1987년 12월 31일 지정
|
[18]
|
7-1호
|
|
부안농악(상쇠)(라모녀) (扶安農樂)
|
전북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 319
|
부안군
|
1987년 12월 31일 지정
|
[19]
|
7-2호
|
|
정읍농악(상쇠)(유지화) (井邑農樂)
|
전북 정읍시 상동 LG아파트 104-403
|
정읍시
|
1996년 3월 29일 지정
|
[20]
|
7-3호
|
|
김제농악(상쇠)(이준용) (金堤農樂)
|
전북 김제시 백구면 부용리 25
|
김제시
|
1999년 7월 9일 지정
|
[21]
|
7-4호
|
|
남원농악(상쇠)(류명철) (南原農樂)
|
전북 남원시 금지면 상귀리 82
|
남원시
|
1998년 1월 9일 지정
|
[22]
|
7-6호
|
|
고창농악(고깔소고)(정창환) (高敞農樂)
|
전북 고창군
|
고창농악보존회
|
1998년 지정,
|
[23] [24][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7-6호
|
|
고창농악 (高敞農樂)
|
전북 고창군 성송면 향산1길 106
|
고창농악보존회
|
2000년 지정
|
[25] [26][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7-6호
|
|
고창농악(설장고)(정기환) (高敞農樂)
|
전북 고창군 공음면 구암리 214 (정기환)
|
고창농악보존회
|
2005년 12월 16일 지정
|
[27] [28][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7-7호
|
|
익산성당포구농악
|
전북 익산시 성당면 승댕이길 9
|
사단법인 익산성당포구농악보존회
|
2019년 6월 7일 지정
|
[29]
|
7-8호
|
|
고창농악(상쇠)(황규언) (高敞農樂)
|
전북 고창군
|
고창농악보존회
|
1999년 7월 지정, 7-6호 고창농악으로 통합
|
[30] [31][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8호
|
|
가곡 (歌曲)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1992년 6월 20일 지정
|
[32]
|
9호
|
|
판소리장단(고법, 이성근)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1992년 6월 20일 지정
|
[33]
|
9-2호
|
|
판소리장단(고법, 주봉신)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1996년 3월 29일 지정
|
[34]
|
10호
|
|
선자장 (扇子匠)
|
전북 전주시 완산구 대성동 242 외
|
|
1993년 6월 10일 지정
|
[35]
|
10-2호
|
|
선자장(합죽선,엄재수)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2012년 8월 3일 지정
|
[36]
|
10-3호
|
|
선자장(태극선, 조충익)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1998년 11월 27일 지정
|
[37]
|
10-4호
|
|
선자장(합죽선,김동식)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2007년 7월 13일 지정
|
[38]
|
11호
|
|
목기장(노동식) (木器匠)
|
전북 남원시 조산동 80-10
|
남원시
|
1997년 12월 4일 지정
|
[39]
|
12-1호
|
|
악기장(대금,최종순)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2012년 8월 3일 지정
|
[40]
|
12-4호
|
|
악기장(가야금, 고수환) (樂器匠)
|
전북 전주시
|
|
1998년 1월 9일 지정
|
[41]
|
12-5호
|
|
악기장(거문고, 최동식)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2000년 7월 7일 지정
|
[42]
|
13호
|
|
옻칠장(옻칠)(김영돌)
|
전북 남원시 아영면 갈계리 619
|
남원시
|
1999년 10월 8일 지정
|
[43]
|
13-2호
|
|
옻칠장(옻칠, 이의식)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1998년 11월 27일 지정
|
[44]
|
14호
|
|
시조창(완제, 박인수)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2000년 3월 10일 지정
|
[45]
|
14-1호
|
|
시조창(완제, 오종수)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2006년 11월 3일 지정
|
[46]
|
14-2호
|
|
시조창(완제,임산본)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1996년 3월 29일 지정
|
[47]
|
14-5호
|
|
시조창(완제, 김영희) (金永姬)
|
전북 전주시
|
|
2012년 4월 27일 지정
|
[48]
|
15호
|
|
호남살풀이춤(동초수건춤, 최정철) (湖南살풀이춤)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1996년 3월 29일 지정
|
[49]
|
18호
|
|
영산작법보존회 (靈山作法保存會)
|
전북 전주시 진북동977-1
|
전주시
|
1998년 1월 9일 지정
|
[50]
|
19-2호
|
|
목가구(전통창호, 김재중) (金載重)
|
전북 전주시
|
|
2000년 11월 24일 지정
|
[51]
|
19-3호
|
|
목가구(전주장, 소병진) (蘇秉辰)
|
전북 전주시
|
|
2012년 4월 27일 지정
|
[52]
|
20호
|
|
매사냥(박정오) (매사냥)
|
전북 진안군 백안면 백암리 539-1
|
진안군
|
2007년 3월 23일 지정
|
[53]
|
22호
|
|
침선장(침선, 최온순)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1998년 11월 27일 지정
|
[54]
|
22-2호
|
|
침선장(전통복식, 임순옥) (林順玉)
|
전북 군산시
|
|
2012년 11월 30일 지정
|
[55]
|
23호
|
|
죽염제조장(죽염제조)(허재근) (竹鹽製造匠(竹鹽製造))
|
전북 부안군 변산면 도청리 산1-3
|
부안군
|
1999년 10월 8일 지정
|
[56]
|
24호
|
|
단청장(단청, 신우순) (丹靑匠)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2007년 7월 20일 지정
|
[57]
|
25호
|
|
익산기세배보존회 (益山旗歲拜保存會)
|
전북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644
|
익산시
|
2000년 11월 24일 지정
|
[58]
|
26호
|
|
전북의앉은굿(독경)(최갑선) (全北의앉은굿(讀經))
|
전북 군산시 조촌동 737-5
|
군산시
|
2001년 6월 5일 지정
|
[59]
|
27호
|
|
탱화장(탱화)(유삼영) (幀畵匠(幀畵))
|
전북 김제시 청하면 대청리 448-3
|
김제시
|
2002년 4월 6일 지정
|
[60]
|
27-2호
|
|
탱화장(탱화, 이삼열) (李三烈)
|
전북 익산시
|
|
2010년 5월 28일 지정
|
[61]
|
29호
|
|
사기장(청자)(이은규) (砂器匠)
|
전북 부안군 부안읍 유천리 166-41
|
부안군
|
2004년 9월 10일 지정
|
[62]
|
30호
|
|
대목장(대목)(김정락) (大木匠)
|
전북 부안군 부안읍 내외리 276
|
부안군
|
2004년 9월 10일 지정
|
[63]
|
31호
|
|
한지발장(한지발, 유배근) (한지발)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2005년 3월 11일 지정
|
[64]
|
32호
|
|
금과들소리(들소리)(이정호)
|
전북 순창군 금과면 매우리 472
|
순창군
|
2005년 3월 11일 지정
|
[65]
|
34호
|
|
가사(가사)(김봉기)
|
전북 부안군
|
부안군
|
2006년 6월 30일 지정
|
[66]
|
36호
|
|
석장(석조각)(김옥수) (石匠)
|
전북 익산시
|
익산시
|
2006년 11월 10일 지정
|
[67]
|
36-2호
|
|
석장(석조각, 권오달) (權五炟)
|
전북 익산시
|
|
2010년 11월 5일 지정
|
[68]
|
37호
|
|
고창오거리당산제보존회 (高敞오거리堂山第保存會)
|
전북 고창군
|
|
2007년 7월 27일 지정
|
[69]
|
38호
|
|
호남 넋풀이 굿(독경) (하진순)
|
전북 군산시 동흥남동 139
|
군산시
|
2007년 10월 10일 지정
|
[70]
|
39호
|
|
전통음식(전주비빔밥, 김년임)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2008년 10월 6일 지정
|
[71]
|
40호
|
|
가야금산조(산조, 지성자) (池成子)
|
전북 전주시
|
|
2010년 3월 12일 지정
|
[72]
|
41호
|
|
무주 부남 디딜방아 보존회
|
전북 무주군
|
|
2010년 5월 28일 지정
|
[73]
|
42호
|
|
불교목조각장(목조각, 임성안) (林聖安)
|
전북 김제시
|
|
2010년 12월 24일 지정
|
[74]
|
43호
|
|
방짜유기장(방짜, 이종덕) (李鍾德)
|
전북 김제시
|
|
2011년 4월 29일 지정
|
[75]
|
44호
|
|
한량춤(한량무, 김무철) (金武喆)
|
전북 전주시
|
|
2011년 9월 30일 지정
|
[76]
|
45호
|
|
우산장(지우산,윤규상)
|
전북 전주시
|
전주시
|
2011년 9월 30일 지정
|
[77]
|
46호
|
|
전라삼현육각보존회 (全羅三絃六角保存會)
|
전북 전주시
|
|
2011년 9월 30일 지정
|
[78]
|
47호
|
|
호남산조춤(산조춤, 이길주) (李吉珠)
|
전북 익산시
|
|
2013년 5월 24일 지정
|
[79]
|
48호
|
|
예기무(교방무, 김광숙) (金珖淑)
|
전북 전주시
|
|
2013년 5월 24일 지정
|
[80]
|
49호
|
|
가야금병창(병창-박애숙) (伽倻琴竝唱(竝唱-朴愛淑))
|
전북 전주시
|
|
2013년 10월 25일 지정
|
[81]
|
50호
|
|
전주 나전장(나전-최대규) (全州 螺鈿丈(螺鈿-崔大奎))
|
전북 전주시
|
|
2013년 10월 25일 지정
|
[82]
|
51호
|
|
전주 낙죽장(낙죽-이신입) (全州 烙竹丈(烙竹-李辰立))
|
전북 전주시
|
|
2013년 10월 25일 지정
|
[83]
|
52호
|
|
전라삼현승무(승무)
|
전북 전주시 덕진구 들사평 2길 8
|
문정근
|
2014년 10월 24일 지정
|
[84], [85]
|
53호
|
|
부거리 옹기장(옹기장)
|
전북
|
|
2015년 12월 28일 지정
|
[86], [87]
|
54호
|
|
전주 모필장(장액붓)
|
전북
|
|
2015년 12월 28일 지정
|
[88], [89]
|
55호
|
|
전북 겨루기 태권도
|
전북
|
|
2016년 10월 14일 지정
|
[90], [91]
|
56호
|
|
무주 안성낙화놀이
|
전북 무주군 안성면 금평리 두문마을
|
두문리 낙화놀이보존회
|
2016년 10월 14일 지정
|
[92], [93]
|
57호
|
|
진안고원형옹기장(옹기장)
|
전북
|
|
2017년 1월 6일 지정
|
[94], [95]
|
58호
|
|
민속목조각장(목조각)
|
전북
|
|
2017년 1월 6일 지정
|
[96], [97]
|
59호
|
|
신관철(수건춤)
|
전북 정읍시
|
|
2017년 1월 6일 지정
|
[98], [99]
|
60호
|
|
색지장(색지공예)
|
전북
|
|
2017년 1월 6일 지정
|
[100], [101]
|
61호
|
|
지승장(지승제조)
|
전북
|
|
2017년 1월 6일 지정
|
[102], [103]
|
62호
|
|
전주배접장(배접,변경환)
|
전북 전주시
|
|
2018년 3월 2일 지정
|
[104]
|
63호
|
|
전주기접놀이보존회
|
전북 전주시
|
|
2018년 3월 2일 지정
|
[105]
|
64호
|
|
여산 호산춘
|
전북 익산시 함열읍 함열 6길 44호
|
|
2018년 3월 16일 지정
|
[106], [107]
|
65호
|
|
야장
|
전북
|
|
2019년 6월 7일 지정
|
[108], [109]
|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