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살로니키(그리스어: Θεσσαλονίκη 테살로니키[*], 또는 테살로니카, 데살로니가, 살로니카)는 아테네 다음으로 큰 그리스 제2의 도시이자 그리스령 마케도니아 지방과 중앙마케도니아주의 주도이다.[2][3] 이 도시는 명예 지명으로 그리스의 '공동 수도'(Συμπρωτεύουσα)라고 일컫기도 하며,[4]비잔티움 제국 때에는 '공동 황제 수도'(συμβασιλεύουσα)라 일컫기도 하였다.[5]
지리적으로는 에게해 북서단 테르마이코스만에 인접해 있는 한편 악시오스강삼각주 지대 역시 끼고 있다.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테살로니키 시의 인구는 317,778 명에 달하며,[1] 도시권 전역의 인구는 1,091,424명에 달한다.[6] 테살로니키는 그리스에서 경제, 산업, 상업, 정치적으로 제 2의 도시의 자리를 공고히 하고 있다. 동시에 남동부 유럽을 관통하는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테살로니키 상업항은 그리스 뿐 아니라 남동부 유럽 배후지역에서도 무척 중요한 항구이다.[7] 아울러 문화적으로는 해마다 다양한 축제가 열리며, 문화 활동이 잦은 그리스의 문화 중심도시로 여겨지기도 한다.[8] 이 도시에서는 해마다 국제 무역 박람회, 국제 영화제를 개최하며 2년마다 그리스 디아스포라 실향민 최대 회합이 열린다.[9]
테살로니키는 그리스 전역에서도 이름난 휴양도시로, 2013년 내셔널 지오그래픽이 선정한 톱 휴양지 가운데 하나로 뽑히기도 했고[10] 2014년에는 파이낸셜 타임스가 유망한 미래의 인문·생활 중심지 중 하나로 테살로니키를 선정하기도 했다.[11][12]
명칭과 어원
도시의 원래 이름은 테살로니케(Θεσσαλονίκη)로서, 카산드로스의 처인 동시에 알렉산드로스 3세의 누이였던 마케도니아의 테살로니케에게서 따왔다. 테살로니케는 테살리아를 뜻하는 테살로스(Θεσσαλός)와 승리를 뜻하는 니케(Νίκη)가 합쳐져 "테살리아의 승리"라는 뜻을 지닌다.
293년 로마의 사두정치가 시작되고, 테살로니키는 황제 갈레리우스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21][22] 갈레리우스가 이곳을 행정수도로 삼아 황궁·신 히포드롬·개선문·영묘 등과 같은 일련의 건축물을 설립하여 번영했다.[22][23][24]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 당시에는 지역 수비대장이 인기 있는 전차 경기 선수를 하옥시킨 것을 계기로 일어난 테살로니키 주민 폭동을 로마 황제의 명령에 따라 로마군들이 진압하면서 주민들을 학살하는 사건이 있었다.
그 이후 동로마 제국에 편입되면서, 6세기와 7세기에 걸쳐 여러 차례 이민족의 공격을 받았다. 732년비잔티움 황제레오 3세가 성상(聖像)의 숭배를 금지한 지 2년 만에 로마 교황의 지배권으로부터 분리시켜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에 종속시켰다. 그러나, 성상파괴주의자인 레오 황제와 그 후계자들이 성상파괴를 자행하는 동안 테살로니키는 성상을 옹호하였고 성상과 예술품을 지키려고 노력했다.
비잔티움 제국의 힘이 약해지면서 수세기 동안 아바르, 불가르족, 노르만족, 라틴인 등이 이 도시를 침략해 파괴행위를 벌였고, 근해에서 이슬람 세력과 잦은 해전을 벌였다. 오스만 제국에게도 계속 시달림을 받다가, 1423년 오스만 제국의 팽창을 저지하기 위해 베네치아 공화국에 양도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해방된 테살로니키는 1970년까지 망가진 도시와 인프라를 재건했다. 1988년에는 2,000년에 걸쳐 남아 있는 고대 건축물들이 문화유산 및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으로 선정되었다.[34] 현재 테살로니키는 동남부 유럽을 대표하는 상공업 도시가 됐으며, 테살로니키 항은 발칸반도와 에게해 지역에서 으뜸가는 규모를 자랑하는 항구로 성장해 있다.[7]
지리
테살로니키는 아테네에서 약 502km 떨어져 있으며, 도시권은 북쪽으로는 오라이오카스트로부터 남쪽으로는 할키디키반도를 향해서 테르미에 이어지기까지 약 30km를 망라한다.
지형
테살로니키는 테르마이코스만 북쪽에 자리잡은 해안도시이며, 남서쪽으로는 호르티아티스산을 접하고 있다. 지리적 변화에 민감한 편이라 옛날부터 지진이 잦았다. 특히 1759년·1902년·1978년·1995년에 강진이 기록되었고,[35] 그 가운데 1978년에 시를 덮친 연쇄 지진은 릭터 규모가 5.5-6.5에 달했다.[36][37]
에게해에 접하고 있는 테살로니키는 기후 역시 에게해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38]쾨펜 구분법으로는 크게 지중해성 기후(Csa)가 나타나며 일부 경계에서는 스텝 기후(BSk)가 나타난다. 강수량은 매년 450mm에 달하며, 비는 주로 핀도스산맥에서 불어오는 서풍을 통해 내린다. 그러나 도시에서는 온난 습윤 기후(Cfa)가 나타나기도 한다.[39]
겨울은 다소 건조한 편으로 새벽 서리가 흔하며 바람이 자주 분다. 눈도 내리지만 며칠 동안 잠깐 내렸다가 그친다. 1년에 평균 193일 동안 안개가 낀 모습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안개가 흔하다.[40] 최저 기온은 -10 °C까지 떨어지며,[40]1월이 평균 5 °C로 가장 추운 달이다.[41] 반면 여름은 아주 건조하고 더운 날씨가 지속되며, 주로 30 °C 이상의 높은 기온을 유지하지만 40 °C 이상으로 올라가는 날은 드물다.[40]폭염이 자주 찾아오며[42] 비가 잘 내리지 않지만, 폭풍의 영향을 받고 있을 때는 곧잘 내린다.
테살로니키 시(그리스어: Δήμος Θεσαλονίκης)는 아테네에 이어서 그리스 전역에서 둘째가는 인구를 갖고 있는 도시이다. 테살로니키 시의 1대 시장은 1912년 오스만 제국이 시장 제도를 도입하면서 임명한 오스만 사이트 베이(Osman Sait Bey)이며, 현직 시장은 콘스탄티노스 제르바스이다. 2012년 기준으로 예산은 4억 9백만 유로에 달했다.[54]
↑“Πρόγραμμα Καλλικράτης” [Kallikratis Programme](PDF). 2011. 22쪽. 2010년 7월 2일에 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6일에 확인함. Έδρα της περιφέρειας Κεντρικής Μακεδονίας είναι η Θεσσαλονίκη. (The capital of the region of Central Macedonia is Thessaloniki.)
↑“Πρόγραμμα Καλλικράτης” [Kallikratis Programme](PDF). 2011. 25쪽. 2010년 7월 2일에 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6일에 확인함. Αποκεντρωμένη Διοίκηση Μακεδονίας – Θράκης, η οποία εκτείνεται στα όρια της περιφέρειας Ανατολικής Μακεδονίας – Θράκης και Κεντρικής Μακεδονίας, με έδρα την Θεσσαλονίκη. ([The creation of the] Decentralized Administration of Macedonia-Thrace, which includes the modern regions of East Macedonia-Thrace and Central Macedonia, with Thessaloniki as capital.)
↑The Roman Orthodox World (1393-1492), Anthony Bryer,"The Cambridge History of the Byzantine Empire c.500-1492", ed. Jonathan Shepar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859.
↑Yerolympos, Alexandra Karadimou (1995). 《The Redesign of Thessaloniki after the Fire of 1917》. Thessaloniki: University Studio Press.
↑Panagiotopoulos, Apostolos (2009). 《Θεσσαλονίκη ... εν Θερμώ – Ο συγκλονιστικός 20ός αιώνας της πόλης》 [Thessaloniki ... on Fire – The City's Sensational 20th Century] B. Maliaris Paideia. 723–724쪽. ISBN978-960-457-239-7.
↑Sieur de la Croix (1679). 《Personal Journals》. 《Η Θεσσαλονίκη των Περιηγητών 1430–1930》 (그리스어) (Εταιρία Μακεδονικών Σπουδών). ISBN9789607265913. 2011년 8월 2일에 확인함.
↑“Population of Greece”. 《General Secretariat Of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www.statistics.gr. 2001. 2007년 7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8월 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