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6년 동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은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개최된 1936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이다.
메달 집계
종목별 메달 집계
메달리스트
노르딕 복합
선수
|
종목
|
크로스컨트리
|
스키 점프
|
총계
|
기록
|
점수
|
순위
|
1차시기
|
2차시기
|
총계
|
순위
|
점수
|
순위
|
후베르트 쾨스팅어
|
남자 개인전
|
1'25:09
|
186.0
|
15
|
44.0
|
48.0
|
189.2
|
20
|
375.2
|
15
|
한스 바우만
|
1'22:49
|
198.5
|
7
|
40.0
|
44.0
|
173.6
|
36
|
372.1
|
17
|
마르쿠스 마이어
|
1'27:31
|
173.7
|
28
|
47.0
|
49.5
|
188.2
|
23
|
361.9
|
25
|
발터 델레 카르트
|
1'37:14
|
125.8
|
46
|
48.0
|
49.5
|
207.4
|
4
|
333.2
|
33
|
봅슬레이
스키 점프
선수
|
종목
|
1차시기
|
2차시기
|
총계
|
거리
|
점수
|
순위
|
거리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제프 브라들
|
남자 노멀힐
|
64.0
|
98.9
|
28
|
70.5
|
105.1
|
14
|
204.0
|
19
|
한스 마리아혀
|
65.5
|
100.3
|
26
|
69.0
|
101.2
|
22
|
201.5
|
25
|
루돌프 리거
|
68.0
|
102.6
|
16
|
67.5
|
97.8
|
30
|
200.4
|
26
|
프란츠 아셴발드
|
64.5
|
96.7
|
31
|
55.5
|
88.9
|
38
|
185.6
|
36
|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아이스하키
예선 A조
상위 2팀이 2차 예선에 진출한다.
팀
|
GP
|
W
|
T
|
L
|
GF
|
GA
|
Pts.
|
캐나다
|
3 |
3 |
0 |
0 |
24 |
3 |
6
|
오스트리아
|
3 |
2 |
0 |
1 |
11 |
7 |
4
|
폴란드
|
3 |
1 |
0 |
2 |
11 |
12 |
2
|
라트비아
|
3 |
0 |
0 |
3 |
3 |
27 |
0
|
2차 예선 B조
상위 2팀이 결승 라운드에 진출한다.
팀
|
GP
|
W
|
T
|
L
|
GF
|
GA
|
Pts.
|
미국
|
3 |
3 |
0 |
0 |
5 |
1 |
6
|
체코슬로바키아
|
3 |
2 |
0 |
1 |
6 |
4 |
4
|
스웨덴
|
3 |
1 |
0 |
2 |
3 |
6 |
2
|
오스트리아
|
3 |
0 |
0 |
3 |
1 |
4 |
0
|
알파인 스키
여자
선수
|
종목
|
활강
|
회전
|
총계
|
기록
|
순위
|
1차시기
|
2차시기
|
순위
|
총 점수
|
순위
|
그레테 니슬
|
복합
|
6:12.8
|
14
|
1:38.5
|
1:38.7
|
10
|
76.86
|
14
|
헤르타 로스미니
|
6:40.8
|
20
|
1:49.2[1]
|
1:48.0
|
17
|
70.69
|
17
|
그레테 바이케르트
|
6:47.0
|
21
|
1:41.9[1]
|
1:52.9
|
15
|
70.47
|
18
|
케테 레트너
|
7:02.4
|
23
|
1:43.4
|
1:52.9
|
16
|
68.88
|
20
|
크로스컨트리
남자
피겨 스케이팅
남자
여자
페어
주해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