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동계 올림픽 의 루지 남자 1인승 종목은 2022년 2월 5일 과 2월 6일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시 옌칭구 샤오하이퉈 봅슬레이 루지 트랙 에서 진행됐다.[ 1] 독일의 요하네스 루트비히 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본인의 개인 종목 첫 올림픽 우승이기도 하다.[ 2] 2위는 오스트리아의 볼프강 킨들 이, 3위는 이탈리아의 도미니크 피슈날러 가 차지했다. 킨들과 피슈날러는 이번이 첫 올림픽 메달 획득이다.
2018년 동계 올림픽 디펜딩 챔피언은 다비트 글라이어셔 로, 올림픽 직전 2021-22 루지 월드컵 에서 10위에 올랐으며 이번 대회 출전권을 따냈다.[ 3] 지난 대회 은메달리스트인 크리스 매즈더 도 출전권을 부여받았다. 동메달리스트 요하네스 루트비히 는 2021-22 루지 월드컵에서 1위를 달리면서, 이번 대회의 강력한 우승후보로 꼽혔다.[ 4] 같은 월드컵에서 볼프강 킨들 이 2위, 2010년과 2014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펠릭스 로흐 가 3위를 차지했다.
경기 결과 4차례의 시도 중 3차례에서 루트비히가 1위를 차지했으며, 그 중 두 기록은 트랙 레코드 기록을 경신했다. 킨들은 3차례에서 2위를 차지했고, 피슈날러 역시 3차례에서 3위를 차지했다.
예선
이번 대회에서는 총 35명의 선수가 출전하며, 각 국가당 최대 3명까지 출전할 수 있다. 올림픽 시즌 기간에 획득한 점수를 합산한 것을 기반으로 출전권이 부여되며, 기준은 2021년 7월 1일부터 2022년 1월 10일까지이다.
남자 1인승 종목에서는 상위 50위 이내에 든 선수와 그 국가에게 출전권이 부여된다. 최대 3명 제한으로 남게 된 출전권은 32위 이내에 든 국가 중 두번째로 좋은 기록을 낸 해당국 선수에게 돌아가며, 그 다음에도 남은 출전권은 세번째로 좋은 기록을 낸 해당국 선수에게 돌아간다.
2021년 12월 17일 국제루지연맹 은 예선 일정을 변경한다고 밝혔다. 1차 월드컵에서 참가선수 훈련 기간이 바뀌어 장비가 제때 조달되지 못한 탓에 일정이 바뀌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월드컵 시즌 기간 동안 총 7차례의 경기 결과를 토대로 하던 것이 4차례의 경기만 토대로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5]
2022년 1월 19일, 국제루지연맹은 올림픽 출전 선수 명단을 최종 확정했다.[ 6]
출전 현황
↑ 단체 계주 종목 참가로 인한 출전권 부여.
결과
2월 5일 1-2차 시도, 2월 6일 3-4차 시도 경기가 치러지며, 총 네 차례의 기록을 합산하여 메달색이 가려진다.
순위
순서
이름
국가
1차
순위
2차
순위
3차
순위
4차
순위
합계
차이
4
요하네스 루트비히
독일
57.063 TR
1
57.438
2
57.043 TR
1
57.191
1
3:48.735
1
볼프강 킨들
오스트리아
57.110
2
57.430
1
57.117
2
57.238
2
3:48.895
+0.160
10
도미니크 피슈날러
이탈리아
57.361
3
57.444
3
57.461
5
57.420
3
3:49.686
+0.951
4
2
펠릭스 로흐
독일
57.383
5
57.500
4
57.510
7
57.485
6
3:49.878
+1.143
5
3
크리스테르스 아파료츠
라트비아
57.364
4
57.597
6
57.399
4
57.693
9
3:50.053
+1.318
6
5
막스 랑겐한
독일
57.606
9
57.536
5
57.521
8
57.429
4
3:50.092
+1.357
7
7
긴츠 베르진슈
라트비아
57.414
7
57.709
7
57.480
6
57.570
7
3:50.173
+1.438
8
18
크리스 매즈더
미국
57.780
10
58.039
9
57.779
10
57.779
10
3:51.377
+2.642
9
12
로만 레필로프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57.594
8
58.679
16
57.714
9
57.647
8
3:51.634
+2.899
10
8
세묜 파블리첸코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57.786
11
58.115
10
57.955
13
57.793
11
3:51.649
+2.914
11
24
레온 펠더러
이탈리아
57.814
12
58.211
11
57.855
11
57.960
14
3:51.840
+3.105
12
6
니코 글라이어셔
오스트리아
59.110
27
58.351
14
57.370
3
57.452
5
3:52.283
+3.548
13
21
터커 웨스트
미국
58.079
15
57.831
8
58.534
21
57.916
13
3:52.360
+3.625
14
16
알렉산드르 고르바체비치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58.139
16
58.339
13
58.080
14
58.043
15
3:52.601
+3.866
15
11
다비트 글라이어셔
오스트리아
57.407
6
58.240
12
58.908
26
58.617
20
3:53.172
+4.437
16
22
알렉산더 펠라초
오스트레일리아
58.216
19
58.994
24
58.122
16
57.887
12
3:53.219
+4.484
17
14
리드 와츠
캐나다
58.049
14
59.071
25
58.108
15
58.065
16
3:53.293
+4.558
18
23
아르투르스 다르즈니엑스
라트비아
58.166
17
59.370
28
57.932
12
58.241
17
3:53.709
+4.974
19
19
조너선 거스터프슨
미국
57.845
13
59.330
27
58.496
20
58.275
18
3:53.946
+5.211
20
34
스반테 코할라
스웨덴
58.517
21
58.779
20
58.368
18
58.333
19
3:53.997
+5.262
21
15
요제프 니니스
슬로바키아
58.205
18
58.764
19
58.856
23
진출 실패
2:55.825
없음
22
20
안톤 두카치
우크라이나
58.873
25
58.726
18
58.408
19
2:56.007
23
26
루퍼트 스토딩어
영국
58.731
22
58.960
22
58.622
22
2:56.313
24
25
판둬야오
중화인민공화국
58.848
23
58.883
21
58.895
25
2:56.626
25
35
마테우시 소호비치
폴란드
58.863
24
59.196
26
58.867
24
2:56.926
26
32
마리안 스쿠페크
슬로바키아
58.956
26
58.976
23
59.051
27
2:56.983
27
13
안드리 만지
우크라이나
1:01.082
32
58.706
17
58.346
17
2:58.134
28
33
파벨 안겔로프
불가리아
59.555
29
59.753
29
59.545
29
2:58.853
29
17
발렌틴 크레추
루마니아
58.349
20
58.362
15
1:02.223
34
2:58.934
30
30
미하엘 레이세크
체코
59.542
28
59.945
31
1:00.080
32
2:59.567
31
27
사바 쿠마리타슈빌리
조지아
1:00.211
30
1:00.146
32
1:00.036
31
3:00.393
32
28
고바야시 세이야
일본
1:00.856
31
1:00.919
33
59.859
30
3:01.634
33
29
임남규
대한민국
1:02.438
34
59.794
30
59.538
28
3:01.770
34
31
미르자 니콜라예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01.667
33
1:02.507
34
1:01.175
33
3:05.349
9
케빈 피슈날러
이탈리아
기권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