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to:

 

202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202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2024 FIFA U-20 Women's World Cup
Copa Mundial Femenina Sub-20 de la FIFA Colombia 2024
개최국콜롬비아의 기 콜롬비아
개최기간2024년 8월 31일 ~ 9월 22일
참가팀24개 (6개 대륙)
경기장4개 (3개 도시)
결과
우승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번째 우승)
준우승 일본
3위 미국
4위 네덜란드
통계
최다 득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일선 (6골)
최우수 선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일선
최우수 골키퍼네덜란드 펨커 리프팅
페어 플레이상 일본
« 2022
2026 »

202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영어: 2024 FIFA U-20 Women's World Cup)은 2024년 8월 31일부터 9월 22일까지 콜롬비아에서 개최된 11번째 FIFA U-20 여자 월드컵이다. FIFA는 2023년 10월 4일에 2024년 대회부터 FIFA U-20 여자 월드컵 참가국 수를 24개국으로 확대한다고 결정했다.

개최국 선정

국제 축구 연맹(FIFA)은 2023년 6월 25일에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린 FIFA 평의회에서 콜롬비아를 202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했다.

본선 진출 팀

연맹 예선 본선 진출 팀
AFC (아시아) 2024년 AFC U-20 여자 아시안컵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CAF (아프리카) 2024년 아프리카 U-20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카메룬 카메룬^
가나 가나
모로코 모로코^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CONCACAF (북중미&카리브) 2023년 CONCACAF U-20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캐나다
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
멕시코
미국
CONMEBOL (남아메리카) 2024년 남아메리카 U-20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파라과이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OFC (오세아니아) 2023년 OFC U-19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피지 피지*^
뉴질랜드 뉴질랜드
UEFA (유럽) 2023년 UEFA U-19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오스트리아**^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스페인
개최국 콜롬비아 콜롬비아
  • ^ : 처음으로 참가한 팀.
  • (*) 코스타리카와 피지는 예선 대회가 종료된 이후에 FIFA의 참가국 수 확대 결정에 따라 본선에 추가로 진출하였다.
  • (**) 오스트리아는 예선 대회가 종료된 이후에 FIFA의 참가국 수 확대 결정에 따라 열린 아이슬란드와의 특별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본선에 추가로 진출하였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

시드 배정

본선 조 추첨식은 2024년 6월 5일에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열렸다. 202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에 참가한 팀들의 시드는 최근 5차례의 FIFA U-20 여자 월드컵에서 획득한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배정되었다. 개최국인 콜롬비아는 자동적으로 A1에 배정되었다. 같은 대륙에 속한 팀들은 서로 다른 조에 편성된다.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콜롬비아 콜롬비아
스페인
일본
프랑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독일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브라질
멕시코
미국
네덜란드
뉴질랜드 뉴질랜드
대한민국
가나 가나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파라과이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오스트리아
카메룬 카메룬
모로코 모로코
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
피지 피지

조별 예선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05:00)을 따름.

A조

경기 승점
콜롬비아 콜롬비아 3 3 0 0 4 0 +4 9
멕시코 3 1 1 1 4 3 +1 4
카메룬 카메룬 3 1 1 1 4 3 +1 4
오스트레일리아 3 0 0 3 0 6 -6 0
  • 멕시코와 카메룬은 승점, 골득실, 상대 전적에서 모두 동률을 이루어 페어 플레이 포인트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2점을 기록한 멕시코가 2위, -6점을 기록한 카메룬이 3위를 차지했다.


콜롬비아 콜롬비아 2 : 0 오스트레일리아
로페스 58분에 득점 58′
카이세도 76분에 득점 76′
리포트
관중: 32,127명
심판: 크로아티아 이바나 마르틴치치

멕시코 2 : 0 오스트레일리아
세르빈 57분에 득점 57′
로멜리 90+1분에 득점 90+1′
리포트
관중: 15,415명
심판: 에콰도르 마르셀리 삼브라노


멕시코 0 : 1 콜롬비아 콜롬비아
리포트 에스피탈레타 38분에 득점 38′
관중: 35,837명
심판: 루마니아 이울리아나 데메트레스쿠


B조

경기 승점
브라질 3 3 0 0 14 0 +14 9
프랑스 3 1 1 1 14 6 +8 4
캐나다 3 1 1 1 12 5 +7 4
피지 피지 3 0 0 3 0 29 -29 0




피지 피지 0 : 9 캐나다
리포트 스미스 7분, 28분에 득점 7′28′
추쿠 24분, 34분, 41분에 득점 24′34′41′
브릭스 32분, 35분에 득점 32′35′
오티 54분에 득점 54′
맥브라이드 67분에 득점 67′
관중: 697명
심판: 이집트 샤헨다 엘마그라비

피지 피지 0 : 11 프랑스
리포트 르죈 2분에 득점 2′
조제프 10분, 45+3분, 55분, 80분에 득점 10′45+3′55′80′
넬레르 14분에 득점 14′
레카 15분에 득점 (상대 자책골) 15′ (자책골)
아우구 41분에 득점 41′ (페널티킥)
스카나피에코 49분, 54분에 득점 49′54′
멘디 90+5분에 득점 90+5′ (페널티킥)
관중: 434명
심판: 에콰도르 마르셀리 삼브라노


C조

경기 승점
스페인 3 3 0 1 5 0 +5 9
미국 3 2 0 1 9 1 +8 6
파라과이 파라과이 3 1 0 2 2 9 -7 3
모로코 모로코 3 0 0 3 0 6 -6 0

스페인 1 : 0 미국
엔리케 8분에 득점 8′ 리포트
관중: 9,979명
심판: 우루과이 아나이 페르난데스

파라과이 파라과이 2 : 0 모로코 모로코
아코스타 37분, 56분에 득점 37′56′ 리포트
관중: 6,148명
심판: 루마니아 이울리아나 데메트레스쿠


모로코 모로코 0 : 2 미국
리포트 매코맥 48분에 득점 48′
댈리언 90+6분에 득점 90+6′
관중: 1,882명
심판: 콜롬비아 마리아 빅토리아 다사


미국 7 : 0 파라과이 파라과이
토르징 10분, 12분, 67분에 득점 10′12′67′
톰프슨 29분에 득점 29′
매코맥 44분에 득점 44′
센트너 52분에 득점 52′
댈리언 83분에 득점 83′
리포트
관중: 2,358명
심판: 북마케도니아 이바나 프로이코프스카

D조

경기 승점
독일 3 2 0 1 8 4 +4 6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3 2 0 1 6 3 +3 6
대한민국 3 1 1 1 1 1 0 4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3 0 1 2 2 9 -7 1



독일 3 : 1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셰히틀레르 17분에 득점 17′
츠베델 61분에 득점 61′
에른스트 90+3분에 득점 90+3′
리포트 오쿠추쿠 50분에 득점 50′
관중: 1,393명
심판: 과테말라 아스트리드 그라마호


대한민국 1 : 0 독일
박수정 22분에 득점 22′ 리포트
관중: 1,987명
심판: 우루과이 아나이 페르난데스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0 : 4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리포트 벨로 16분에 득점 16′
오쿠추쿠 28분에 득점 28′
서배스틴 45+5분에 득점 45+5′
이그보퀘 90+4분에 득점 90+4′
관중: 1,693명
심판: 스페인 마르타 우에르타 데 아사

E조

경기 승점
일본 3 3 0 0 13 1 +12 9
오스트리아 3 2 0 1 5 4 +1 6
가나 가나 3 1 0 2 5 7 -2 3
뉴질랜드 뉴질랜드 3 0 0 3 2 13 -11 0

가나 가나 1 : 2 오스트리아
니아메키에 90+1분에 득점 90+1′ 리포트 팡크하우저 12분에 득점 12′
오주쿠 71분에 득점 71′ (페널티킥)
관중: 1,405명
심판: 키르기스스탄 베로니카 베르나츠카야

일본 7 : 0 뉴질랜드 뉴질랜드
히지카타 16분, 38분에 득점 16′38′
사사이 41분, 90+1분에 득점 41′90+1′
오야마 45분에 득점 45′
고야마 60분에 득점 60′
하야마 75분에 득점 75′
리포트
관중: 1,405명
심판: 칠레 디오네 리시오스

일본 4 : 1 가나 가나
사사이 45분에 득점 45′
마쓰코보 456분에 득점 456′
하야마 50분에 득점 50′
마쓰나가 90분에 득점 90′
리포트 니아메키에 83분에 득점 83′ (페널티킥)
관중: 1,041명
심판: 멕시코 카렌 에르난데스

오스트리아 3 : 1 뉴질랜드 뉴질랜드
구트만 10분, 15분에 득점 10′15′
메들 67분에 득점 67′
리포트 클레그 90분에 득점 90′
관중: 852명
심판: 코트디부아르 아키시 코낭

오스트리아 0 : 2 일본
리포트 히지카타 38분, 79분에 득점 38′79′
관중: 1,387명
심판: 이집트 샤헨다 엘마그라비

뉴질랜드 뉴질랜드 1 : 3 가나 가나
엘리엇 64분에 득점 64′ 리포트 압둘라이 59분, 72분에 득점 59′72′
90+6분에 득점 90+6′
관중: 1,613명
심판: 콜롬비아 마리아 빅토리아 다사

F조

경기 승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3 0 0 17 2 +15 9
네덜란드 3 1 1 1 5 5 0 4
아르헨티나 3 1 1 1 6 9 -3 4
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 3 0 0 3 0 12 -12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6 : 2 아르헨티나
박미령 6분에 득점 6′
전령정 10분에 득점 10′
아프릴레 45+2분에 득점 (상대 자책골) 45+2′ (자책골)
신향 47분에 득점 47′
최일선 75분에 득점 75′
최강련 90+2분에 득점 90+2′
리포트 누녜스 45+5분, 82분에 득점 45+5′82′
관중: 1,428명
심판: 북마케도니아 이바나 프로이코프스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9 : 0 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
베나비데스 6분에 득점 (상대 자책골) 6′ (자책골)
채은영 8분에 득점 8′
최일선 28분, 34분에 득점 28′34′
박미령 43분에 득점 43′
김성경 49분, 55분에 득점 49′55′
정금 69분에 득점 69′
최강련 85분에 득점 85′
리포트
관중: 1,446명
심판: 칠레 디오네 리시오스

네덜란드 3 : 3 아르헨티나
뷔르만 16분에 득점 16′
판 에흐몬트 38분에 득점 38′
라크루아 45+2분에 득점 45+2′
리포트 도밍게스 43분에 득점 43′
로드리게스 48분, 71분에 득점 48′71′
관중: 1,886명
심판: 키르기스스탄 베로니카 베르나츠카야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승점 경기 결과
B 캐나다 4 3 1 1 1 12 5 +7 8강전 진출
A 카메룬 카메룬 4 3 1 1 1 4 3 +1 8강전 진출
D 대한민국 4 3 1 1 1 1 1 0 8강전 진출
F 아르헨티나 4 3 1 1 1 6 9 -3 8강전 진출
E 가나 가나 3 3 1 0 2 5 7 -2 조별 리그 탈락
C 파라과이 파라과이 3 3 1 0 2 2 9 -7 조별 리그 탈락

결선 토너먼트

 
16강전8강전준결승전결승전
 
              
 
9월 11일 - 보고타 (엘 캄핀)
 
 
멕시코2
 
9월 15일 - 칼리
 
미국 ()3
 
미국 ()2 (3)
 
9월 12일 - 보고타 (테초)
 
독일2 (1)
 
독일5
 
9월 18일 - 칼리
 
아르헨티나1
 
미국0
 
9월 11일 - 보고타 (엘 캄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
 
브라질 ()3
 
9월 15일 - 메데인
 
카메룬 카메룬1
 
브라질0
 
9월 12일 - 메데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5
 
9월 22일 - 보고타 (엘 캄핀)
 
오스트리아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
 
9월 12일 - 보고타 (테초)
 
일본0
 
일본2
 
9월 15일 - 메데인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1
 
일본 ()1
 
9월 11일 - 칼리
 
스페인0
 
스페인2
 
9월 18일 - 칼리
 
캐나다1
 
일본2
 
9월 12일 - 메데인
 
네덜란드0 3위 결정전
 
프랑스1
 
9월 15일 - 칼리9월 21일 - 보고타 (엘 캄핀)
 
네덜란드 ()2
 
네덜란드 ()2 (3) 미국 ()2
 
9월 11일 - 칼리
 
콜롬비아 콜롬비아2 (0) 네덜란드1
 
콜롬비아 콜롬비아1
 
 
대한민국0
 

16강전




멕시코 2 : 3 (연장) 미국
바르가스 2분에 득점 2′
길크리스트 39분에 득점 (상대 자책골) 39′ (자책골)
리포트 토르징 10분에 득점 10′
센트너 27분에 득점 27′
더들리 97분에 득점 97′
관중: 4,352명
심판: 루마니아 이울리아나 데메트레스쿠


독일 5 : 1 아르헨티나
얀첸 6분에 득점 6′
나흐티갈 24분, 37분에 득점 24′37′
벤더 26분에 득점 26′
지카이 69분에 득점 69′
리포트 롬바르디 43분에 득점 43′
관중: 1,354명
심판: 이집트 샤헨다 엘마그라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5 : 2 오스트리아
신향 3분, 37분에 득점 3′37′
김강미 53분에 득점 53′
채은영 74분에 득점 74′
박미령 90+2분에 득점 90+2′
리포트 메들 11분에 득점 11′
한홍련 63분에 득점 (상대 자책골) 63′ (자책골)
관중: 1,788명
심판: 칠레 디오네 리시오스


프랑스 1 : 2 (연장) 네덜란드
모사르 33분에 득점 33′ 리포트 판 베이예런 59분에 득점 59′
스토이트 103분에 득점 103′
관중: 3,157명
심판: 크로아티아 이바나 마르틴치치

8강전




일본 1 : 0 (연장) 스페인
요네다 102분에 득점 102′ 리포트
관중: 4,583명
심판: 우루과이 아나이 페르난데스


준결승전



일본 2 : 0 네덜란드
마쓰코보 55분, 83분에 득점 55′83′ 리포트
관중: 8,733명
심판: 멕시코 카렌 에르난데스

3·4위전


미국 2 : 1 네덜란드
센트너 10분에 득점 10′
바위케마 119분에 득점 (상대 자책골) 119′ (자책골)
리포트 라크루아 26분에 득점 26′
관중: 8,733명
심판: 이집트 샤헨다 엘마그라비

결승전



우승

202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우승 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번째 우승

수상

골든 볼 실버 볼 브론즈 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일선 일본 마쓰코보 마나카 미국 앨리 센트너
골든 슈 실버 슈 브론즈 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일선 브라질 나탈리아 벤지투 일본 히지카타 마야
6골 5골, 1어시스트
404분 출전
5골, 1어시스트
590분 출전
골든 글러브
네덜란드 펨커 리프팅
FIFA 페어 플레이상
일본

각주

  1. 미국과 독일의 8강전 경기는 원래 오후 8시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앞서 칼리에서 열린 네덜란드와 콜롬비아의 8강전 경기가 승부차기로 끝나면서 연기되었다.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