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영어: 2024 FIFA U-20 Women's World Cup)은 2024년 8월 31일부터 9월 22일까지 콜롬비아에서 개최된 11번째 FIFA U-20 여자 월드컵이다. FIFA는 2023년 10월 4일에 2024년 대회부터 FIFA U-20 여자 월드컵 참가국 수를 24개국으로 확대한다고 결정했다.
개최국 선정
국제 축구 연맹(FIFA)은 2023년 6월 25일에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린 FIFA 평의회에서 콜롬비아를 202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했다.
본선 진출 팀
- ^ : 처음으로 참가한 팀.
- (*) 코스타리카와 피지는 예선 대회가 종료된 이후에 FIFA의 참가국 수 확대 결정에 따라 본선에 추가로 진출하였다.
- (**) 오스트리아는 예선 대회가 종료된 이후에 FIFA의 참가국 수 확대 결정에 따라 열린 아이슬란드와의 특별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본선에 추가로 진출하였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
시드 배정
본선 조 추첨식은 2024년 6월 5일에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열렸다. 202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에 참가한 팀들의 시드는 최근 5차례의 FIFA U-20 여자 월드컵에서 획득한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배정되었다. 개최국인 콜롬비아는 자동적으로 A1에 배정되었다. 같은 대륙에 속한 팀들은 서로 다른 조에 편성된다.
조별 예선
A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콜롬비아
|
3 |
3 |
0 |
0 |
4 |
0 |
+4 |
9
|
멕시코
|
3 |
1 |
1 |
1 |
4 |
3 |
+1 |
4
|
카메룬
|
3 |
1 |
1 |
1 |
4 |
3 |
+1 |
4
|
오스트레일리아
|
3 |
0 |
0 |
3 |
0 |
6 |
-6 |
0
|
- 멕시코와 카메룬은 승점, 골득실, 상대 전적에서 모두 동률을 이루어 페어 플레이 포인트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2점을 기록한 멕시코가 2위, -6점을 기록한 카메룬이 3위를 차지했다.
관중: 32,127명 심판: 이바나 마르틴치치
관중: 15,415명 심판: 마르셀리 삼브라노
관중: 35,837명 심판: 이울리아나 데메트레스쿠
B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브라질
|
3 |
3 |
0 |
0 |
14 |
0 |
+14 |
9
|
프랑스
|
3 |
1 |
1 |
1 |
14 |
6 |
+8 |
4
|
캐나다
|
3 |
1 |
1 |
1 |
12 |
5 |
+7 |
4
|
피지
|
3 |
0 |
0 |
3 |
0 |
29 |
-29 |
0
|
관중: 4,548명 심판: 둥팡위
관중: 697명 심판: 샤헨다 엘마그라비
관중: 434명 심판: 마르셀리 삼브라노
C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스페인
|
3 |
3 |
0 |
1 |
5 |
0 |
+5 |
9
|
미국
|
3 |
2 |
0 |
1 |
9 |
1 |
+8 |
6
|
파라과이
|
3 |
1 |
0 |
2 |
2 |
9 |
-7 |
3
|
모로코
|
3 |
0 |
0 |
3 |
0 |
6 |
-6 |
0
|
관중: 9,979명 심판: 아나이 페르난데스
관중: 6,148명 심판: 이울리아나 데메트레스쿠
관중: 2,366명 심판: 둥팡위
관중: 1,882명 심판: 마리아 빅토리아 다사
관중: 2,358명 심판: 이바나 프로이코프스카
D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독일
|
3 |
2 |
0 |
1 |
8 |
4 |
+4 |
6
|
나이지리아
|
3 |
2 |
0 |
1 |
6 |
3 |
+3 |
6
|
대한민국
|
3 |
1 |
1 |
1 |
1 |
1 |
0 |
4
|
베네수엘라
|
3 |
0 |
1 |
2 |
2 |
9 |
-7 |
1
|
관중: 870명 심판: 카렌 에르난데스
관중: 1,393명 심판: 아스트리드 그라마호
관중: 1,987명 심판: 아나이 페르난데스
관중: 1,693명 심판: 마르타 우에르타 데 아사
E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일본
|
3 |
3 |
0 |
0 |
13 |
1 |
+12 |
9
|
오스트리아
|
3 |
2 |
0 |
1 |
5 |
4 |
+1 |
6
|
가나
|
3 |
1 |
0 |
2 |
5 |
7 |
-2 |
3
|
뉴질랜드
|
3 |
0 |
0 |
3 |
2 |
13 |
-11 |
0
|
관중: 1,405명 심판: 베로니카 베르나츠카야
관중: 1,405명 심판: 디오네 리시오스
관중: 1,041명 심판: 카렌 에르난데스
관중: 852명 심판: 아키시 코낭
관중: 1,387명 심판: 샤헨다 엘마그라비
관중: 1,613명 심판: 마리아 빅토리아 다사
F조
관중: 1,428명 심판: 이바나 프로이코프스카
관중: 1,128명 심판: 아키시 코낭
관중: 1,446명 심판: 디오네 리시오스
관중: 1,886명 심판: 베로니카 베르나츠카야
관중: 2,113명 심판: 아스트리드 그라마호
관중: 1,669명 심판: 둥팡위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조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결과
|
B |
캐나다
|
4 |
3 |
1 |
1 |
1 |
12 |
5 |
+7 |
8강전 진출
|
A |
카메룬
|
4 |
3 |
1 |
1 |
1 |
4 |
3 |
+1 |
8강전 진출
|
D |
대한민국
|
4 |
3 |
1 |
1 |
1 |
1 |
1 |
0 |
8강전 진출
|
F |
아르헨티나
|
4 |
3 |
1 |
1 |
1 |
6 |
9 |
-3 |
8강전 진출
|
E |
가나
|
3 |
3 |
1 |
0 |
2 |
5 |
7 |
-2 |
조별 리그 탈락
|
C |
파라과이
|
3 |
3 |
1 |
0 |
2 |
2 |
9 |
-7 |
조별 리그 탈락
|
결선 토너먼트
16강전
관중: 4,352명 심판: 이울리아나 데메트레스쿠
관중: 1,354명 심판: 샤헨다 엘마그라비
관중: 1,788명 심판: 디오네 리시오스
관중: 3,157명 심판: 이바나 마르틴치치
8강전
관중: 37,382명 심판: 둥팡위
관중: 4,583명 심판: 아나이 페르난데스
준결승전
관중: 5,439명 심판: 이바나 마르틴치치
관중: 8,733명 심판: 카렌 에르난데스
3·4위전
관중: 8,733명 심판: 샤헨다 엘마그라비
결승전
우승
수상
각주
- ↑ 미국과 독일의 8강전 경기는 원래 오후 8시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앞서 칼리에서 열린 네덜란드와 콜롬비아의 8강전 경기가 승부차기로 끝나면서 연기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