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하계 올림픽 육상
2024년 하계 올림픽 육상(프랑스어: Athlétisme aux Jeux olympiques d'été de 2024)은 2024년 하계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진행된 육상 경기로 2024년 8월 1일부터 8월 11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렸다. 이번 대회 육상경기는 크게 트랙 필드 종목, 도로 달리기 종목, 경보 종목의 3가지로 분류되어 치러진다.[1] 경기장의 경우 경보 종목은 이에나교 일대에서, 마라톤 종목은 파리 시청과 앵발리드를 각각 시작지점과 완주지점으로 파리 시내 일대에서, 나머지 트랙 필드 종목은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열린다. 이번 대회부터 도입된 경기 운영상의 변화는 200m~1500m 달리기와 허들 종목 (남자 110m, 여자 100m, 혼성 400m)에 패자부활전 경기를 도입하여, 준결승전을 치르기 전 탈락한 선수들에게 한차례의 기회를 더 부여하게 되었다. 기존에는 예선 조별전에서 상위에 올라 결선에 진출한 선수(Q)와 더불어, 전체 종합기록에서 가장 좋은 기록을 낸 선수들이 별도의 경기 없이 추가로 진출(q)토록 하였다.[2] 경기장트랙 필드 종목은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진행되며 경보 종목은 센강변의 이에나교에서 치러진다.[3] 마라톤의 경우 파리 시청에서 시작하여 파리의 여러 명소와 올림픽 경기장을 거쳐 앵발리드에서 끝나는 코스를 지정하여 경기가 진행된다.[4] 이번 대회 마라톤 코스의 고저차는 438m에 달해 험난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림픽 대회 조직위원회는 42.195km 의 정규 마라톤 코스와 10km 코스의 두가지 코스를 일반에 공개하였다.[5] 예선육상 개인종목2022시즌 말에 이르러 세계 육상 연맹에서 2024년 파리 올림픽 진출 기준을 발표하였다. 지난 2020년 도쿄올림픽과 마찬가지로 이번 대회에서도 전체 출전권의 절반은 연맹 측이 지정한 특정 기록을 넘긴 선수들에게 배분되고, 나머지 절반은 예선기간 내 세계랭킹에 따라 배분한다.[6] 한 국가당 개별 종목에 최대 3명까지 출전시킬 수 있다. 10,000m, 7종경기, 10종경기를 제외한 모든 트랙 필드 종목의 예선기간은 2023년 7월 1일부터 2024년 6월 30일까지이다.[7] 육상 계주 종목계주 종목의 경우 각 종목마다 총 16팀이 출전권을 얻게 되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6]
육상 마라톤 경보 혼성 계주마라톤과 동일한 거리로 경기가 치러지는 마라톤 경보 혼성 계주 종목의 경우 총 25개국이 진출하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6]
10,000m 달리기, 도로종목, 종합종목마라톤 종목의의 올림픽 예선기간은 2022년 11월 1일부터 2024년 4월 30일까지이며, 10,000미터 달리기와 종합종목 (남자 10종경기, 여자 7종경기), 경보 종목의 올림픽 예선기간은 2022년 12월 31일부터 2024년 6월 30일까지이다.[6] 마라톤 종목의 경우, 2024년 1월 30일을 기준으로 '로드 투 파리' 세계랭킹에서 65위 이내에 든 선수는 올림픽 본선에 즉시 진출할 자격을 얻는다. 예선기간 마감 이후에는 전체 진출권의 20% 정도는 이미 진출한 선수들을 제외하고 맨 위에서 언급한 특정 기록을 넘겼거나 세계랭킹 차순위를 기록한 선수에게 돌아간다.[6][11] 경기 일정도로 종목 (마라톤과 경보)은 오전 타임에 경기가 열리며, 트랙 필드와 종합종목은 야간 타임에 경기가 열린다. 트랙 필드와 종합종목이 야간 타임으로 복귀한 것은 2012년 런던 올림픽 이후 12년 만의 일이다.[12] 여자 마라톤은 전체 육상 경기 가운데 마지막 날로 예정되었으며 남자 마라톤은 그 전날에 치러진다. 이는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이후 40년 만의 일이다. 2024년 파리 올림픽 조직위원장 토니 에스탕게는 "양성평등을 향한 큰 마음으로 경기순서를 바꿔 처음으로 여성을 전면에 내세울 것이다. 여자 마라톤은 육상 경기의 대미를 장식하는 8월 11일로 잡아 큰 주목을 받게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4]
메달리스트남자
여자혼성
a 예선에만 참가하고 결승에는 나서지 않은 선수. 각주
외부 링크 |